SQL29 3-2장. SQL 기본(DDL[DATA DEFINITION LANGUAGE]) SQLD 단원별 목록으로 1. 데이터 유형 - 데이터 유형은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에 특정 자료를 입력할 때, 그 자료를 받아들일 공간을 자료의 유형별로 나누는 기준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즉 특정 칼럼을 정의할 때 선언한 데이터 유형은 그 칼럼이 받아들일 수 있는 자료의 유형을 규정한다. 2. CREATE TABLE - 테이블은 일정한 형식에 의해서 생성된다. 테이블 생성을 위해서는 해당 테이블에 입력될 데이터를 정의하고, 정의한 데이터를 어떠한 데이터 유형으로 선언할 것인지를 결정해야 한다. 가) 테이블과 칼럼의 정의 - 테이블에 존재하는 모든 데이터를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으면서 반드시 값이 존재하는 단일 칼럼이나 칼럼의 조합들(후보키) 중에 하나를 선정하여 기본키 칼럼으로 지정한다. 나) CREATE.. 2023. 5. 23. 3-1장. SQL 기본(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개요) SQLD 단원별 목록으로 1. 데이터 베이스 가) 데이터베이스의 발전 - 1960년대 : 플로우차트 중심의 개발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파일 구조를 통해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였다. - 1970년대 : 데이터베이스 관리 기법이 처음 태동되던 시기였으며 계층형 (Hierarchical) 데이터베이스, 망형(Network) 데이터베이스 같은 제품들이 상용화되었다. - 1980년대 : 현재 대부분의 기업에서 사용되고 있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가 상용화되었으며 Oracle, Sybase, DB2와 같은 제품이 사용되었다. - 1990년대 : Oracle, Sybase, Informix, DB2, Teradata, SQL Server 외 많은 제품들 이 보다 향상된 기능으로 정보시스템의 확실한 핵심 솔루션으로 자리 .. 2023. 5. 21. 2-6장. 데이터 모델과 성능_분산 데이터베이스와 성능 SQLD 단원별 목록으로 1. 분산 데이터베이스의 개요 - 여러 곳으로 분산되어 잇는 데이터베이스를 하나의 가상 시스템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데이터베이스 - 논리적으로 동일한 시스템에 속하지만,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물리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데이터들의 모임 - 데이터베이스를 연결하는 빠른 네트워크 환경을 이용하여 데이 터베이스를 여러 지역 여러 노드로 위치시켜 사용성/성능 등을 극대화 시킨 데이터베이스 2. 분산 데이터베이스의 투명성(Transparency) - 분산데이터베이스가 되기 위해서는 6가지 투명성(Transparency)을 만족해야 한다. 1) 분할 투명성 (단편화) : 하나의 논리적 Relation이 여러 단편으로 분할되어 각 단편의 사본이 여러 site에 저장 2) 위치 투명성 : 사.. 2023. 5. 21. 2-5장. 데이터 모델과 성능_데이터베이스 구조와 성능 SQLD 단원별 목록으로 1. 슈퍼타입/서브타입 모델의 성능고려 가) 슈퍼/서브타입 모델 데이터 모델 개요 - Extended ER모델이라고 부르는 이른바 슈퍼/서브타입 데이터 모델은 최근에 데이터 모델링을 할 때 자주 쓰이는 모델링 방법이다. - 공통의 부분을 슈퍼타입으로 모델링하고 공통으로부터 상속받아 다른 엔터티와 차이가 있는 속성에 대해서는 별도의 서브엔터티로 구분하여 업무의 모습을 정확하게 표현하면서 물리적인 데이터 모델로 변환을 할 때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 슈퍼/서브타입 데이터 모델의 변환 - 슈퍼/서브타입에 대한 변환을 잘못하면 성능이 저하되는 이유는 트랜잭션 특성을 고려하 지 않고 테이블이 설계되었기 때문이다. 이것을 3가지 경우의 수로 정리하면 설명하면 다음과 같.. 2023. 5. 20.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