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qld24

SQLD 단원별 요약 목록 과목 1.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 (10 문항) 1장.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 1절. 데이터 모델의 이해 2절. 엔터티(Entity) 3절. 속성(Attribute) 4절. 관계(Relationship) 5절. 식별자 2장. 데이터 모델과 성능 1절. 성능 데이터 모델링의 개요 2절. 정규화와 성능 3절. 반정규화와 성능 4절. 대량 데이터에 따른 성능 5절. 데이터베이스 구조와 성능 6절. 분산 데이터베이스와 성능 과목 2. SQL 기본 및 활용 (40 문항) 1장. SQL 기본 1절.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개요 2절. DDL(DATA DEFINITION LANGUAGE) 3절. DML(DATA MANIPULATION LANGUAGE) 4절. TCL(TRNSACTION CONTROL LANGUAGE) 5절... 2023. 6. 4.
5-1장. SQL 최적화 기본 원리(옵티마이저와 실행계획) SQLD 단원별 목록으로 1. 옵티마이저 옵티마이저(Optimizer)는 사용자가 질의한 SQL문에 대해 최적의 실행 방법을 결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가) 규칙기반 옵티마이저 규칙기반 옵티마이저가 실행계획을 생성할 때 참조하는 정보에는 SQL문을 실행하기 위해서 이용 가능한 인덱 스 유무와 (유일, 비유일, 단일, 복합 인덱스) 종류, SQL문에서 사용하는 연산자(=, 2023. 6. 3.
4-7장. SQL 활용(DCL[DATA CONTROL LANGUAGE]) SQLD 단원별 목록으로 1. DCL 개요 유저를 생성하고 권한을 제어할 수 있는 DCL(DATA CONTROL LANGUAGE) 명령어가 있다. 2. 유저와 권한 대부분의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 보호와 보안을 위해서 유저와 권한을 관리하고 있다. SQL Server는 인스턴스에 접속하기 위해 로그인이라는 것을 생성하게 되며, 인스턴스 내에 존재하는 다수의 데이터베이스에 연결하여 작업하기 위해 유저를 생성한 후 로그인과 유저를 매핑해 주어야 한다. Oracle은 유저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접속을 하는 형태이다. 즉, 아이디와 비밀번호 방식으로 인스턴스에 접속을 하고 그에 해당하는 스키마에 오브젝트 생성 등의 권한을 부여받게 된다. 가) 유저 생성과 시스템 권한 분석 유저를 생성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한다... 2023. 5. 30.
4-6장. SQL 활용(윈도우 함수[WINDOW 함수]) SQLD 단원별 목록으로 1. WINDOW FUNCTION 개요 - 분석 함수나 순위 함수로도 알려져 있는 윈도우 함수는 데이터웨어하우스에서 발전한 기능이다. WINDOW FUNCTION 종류 - 순위 관련 함수(RANK, DENSE_RANK, ROW_NUMBER) - 집계 관련 함수(SUM, MAX, MIN, AVG, COUNT) - 행 순서 관련 함수(FIRST_VALUE, LAST_VALUE, LAG, LEAD) - 비율 관련 함수( CUME_DIST, PERCENT_RANK, NTILE, RATIO_TO_REPORT) - 선형 분석을 포함한 통계 분석 관련 함수(CORR, COVAR_POP, COVAR_SAMP, STDDEV, STDDEV_POP 등등) WINDOW FUNCTION SYNTAX -.. 2023. 5. 3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