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QL29 DAsP(4과목) 4-4. 반정규화 1. 테이블 분할 - 하나의 테이블을 수직 혹은 수평 분할하는 것을 테이블 분할 또는 파티셔닝이라고 한다. - 파티셔닝이라는 용어는 데이터베이스 디자인 단계에서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식의 파티셔닝과는 구분되는 개념이다. 가) 수평 분할(Horizontal Partitioning) 레코드(Record)를 기준으로 테이블을 분할하는 것을 말한다. 하나의 테이블에 데이터가 너무 많이 있고, 레코드 중에서 특정한 덩어리의 범위만을 주로 액세스 하는 경우에 사용 분할된 각 테이블은 서로 다른 디스크에 위치시켜 물리적인 디스크의 효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현재는 이러한 수평 테이블의 분할은 DBMS 차원에서 제공하고 있다. 특히 분할의 방법 다양하게 제공하고 있는 추세이다. 나) 수직 분할 (Vertical Pa.. 2023. 9. 13. SQLD 단원별 요약 목록 과목 1.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 (10 문항) 1장.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 1절. 데이터 모델의 이해 2절. 엔터티(Entity) 3절. 속성(Attribute) 4절. 관계(Relationship) 5절. 식별자 2장. 데이터 모델과 성능 1절. 성능 데이터 모델링의 개요 2절. 정규화와 성능 3절. 반정규화와 성능 4절. 대량 데이터에 따른 성능 5절. 데이터베이스 구조와 성능 6절. 분산 데이터베이스와 성능 과목 2. SQL 기본 및 활용 (40 문항) 1장. SQL 기본 1절.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개요 2절. DDL(DATA DEFINITION LANGUAGE) 3절. DML(DATA MANIPULATION LANGUAGE) 4절. TCL(TRNSACTION CONTROL LANGUAGE) 5절... 2023. 6. 4. 5-2장. SQL 최적화 기본 원리(인덱스 기본) SQLD 단원별 목록으로 1. 인덱스 특징과 종류 원하는 데이터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돕는 책의 찾아보기와 유사한 개념이다. 테이블을 기반으로 선택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구조이다 인덱스의 기본적인 목적은 검색 성능의 최적화이다. Insert, Update, Delete 같은 DML 작업은 테이블과 인덱스를 함께 변경해야 하기 때문에 오히려 느려질 수 있다는 단점이 존재. 가) 트리 기반 인덱스 루트 블록(Root Block): 브랜치 블록 중에서 가장 상위에서 있는 블록 브랜치 블록(Branch Block): 분기를 목적으로 하는 블록 리프 블록(Leaf Block): 트리의 가장 아래 단계에 존재 Oracle에서 트리 기반 인덱스에는 B-트리 인덱스 외에도 비트맵 인덱스(Bitmap Index), 리.. 2023. 6. 4. 5-1장. SQL 최적화 기본 원리(옵티마이저와 실행계획) SQLD 단원별 목록으로 1. 옵티마이저 옵티마이저(Optimizer)는 사용자가 질의한 SQL문에 대해 최적의 실행 방법을 결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가) 규칙기반 옵티마이저 규칙기반 옵티마이저가 실행계획을 생성할 때 참조하는 정보에는 SQL문을 실행하기 위해서 이용 가능한 인덱 스 유무와 (유일, 비유일, 단일, 복합 인덱스) 종류, SQL문에서 사용하는 연산자(=, 2023. 6. 3. 이전 1 2 3 4 ··· 8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