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1. 시스템 구축 관련 명명 규칙
- 사내의 시스템 구축과 관련된 명명 규칙을 파악하여 물리 데이터 모델의 각 요소의 내용에 이를 적용해야 한다.
2. 하드웨어 자원 파악
가) CPU
- 중앙처리 장치의 성능과 집중적인 부하가 발생하는 시간 등을 파악한다.
나) MEMORY
- 전체 메모리의 규모 및 시스템이 사용하는 메모리 영역을 포함하여 사용 가능한 메모리 영역을 파악한다.
다) DISK
- 전체 디스크의 크기, 분할된 형태, 현재 디스크 활용률 등을 파악하고 사용 가능한 공간을 확인한다.
라) I/O Controller
- 현재 입/출력 컨트롤러의 성능 및 적절하게 운용되고 있는가를 파악한다.
마) Network
- 네트워크와 관련된 모든 내용을 파악한다. 여기에 관련된 내용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존재한다.
- 현재 처리 가능한 속도
- 집중적인 부하가 발생하는 시간대
- 동시 접속 최대 가용 사이트 수
3. 운영체제 및 DBMS 버전 파악
- 데이터베이스 운영 환경과 관련된 운영체제의 관련 요소를 파악하고 적절하게 관리되고 있는가를 파악한다. 특히 인스턴스 관리 기법 등에 대해서 파악하고 분석한다.
4. DBMS 파라미터 정보 파악
- DBMS 환경 적용 단계에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해야 하는 단계
- 자신들의 DBMS가 관리하는 파라미터의 종류와 관리 대상들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정의해야 한다.
- 데이터 쿼리에서 활용하는 옵티마이져 (Optimizer)의 운영 방법 등도 중요한 고려사항이 된다.
5. 데이터베이스 운영과 관련된 관리 요소 파악
- 사용자 관리 기법 및 정책
- 백업/복구 기법 및 정책
- 보안 관리 정책
728x90
반응형
'자격증 > 데이터아키텍처 준전문가(DAsP)'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sP(4과목) 4-4. 반정규화 (38) | 2023.09.13 |
---|---|
DAsP(4과목) 4-3. 논리-물리 모델 변환 (40) | 2023.09.12 |
DAsP(4과목) 3-1. 논리 데이터 모델링 이해 (49) | 2023.09.11 |
DAsP(4과목) 3-5. 논리 데이터 모델 품질 검토 (44) | 2023.09.10 |
DAsP(4과목) 3-4. 이력관리 정의 (43) | 2023.09.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