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1. 개념 데이터 모델 정의
- 건물로 말하면 철제빔으로 건물의 골격을 세워 놓은 형태와 유사하다 건. 물의 골격이 주요 골조 자재로 구성되어 있듯이 개념 데이터 모델도 주요 핵심 엔터티들로 구성 된다.
- 핵심 엔터티란 행위의 주체나 목적물이 되는 개체 집합에 해당하는 엔터티를 의미한다. 이들은 부모가 존재하지 않는 창조된 집합이어서 다른 집합의 존재 유무에 상관없이 독립적으로 탄생할 수 있다.
- 핵심 엔터티는 대체적으로 여러 가지 하위의 행위 엔터티를 탄생시킨다 .
2. 개념 데이터 모델 의의
- 개념 데이터 모델은 단지 대상을 주요 핵심 엔터티로 한정한다는 것일 뿐이지 모델링 기법은 논 리적 모델링과 특별히 다를 것이 없다.
- 하향식으로 데이터아키텍처를 수립해 간다면 개념적 모델은 개괄적 모델을 좀더 상세화된 형태로 진화시키거나 중요 엔터티만 선정하여 모델 링을 함으로써 탄생된다.
3. 데이터아키텍처 프레임워크 상에서 개념 데이터 모델
- 전사아키텍처에서 개념 레이어는 최상위의 개괄 레이어와 하위의 논리 레이어 중간에 존재하는 레이어이다.
- 데이터아키텍처에서는 개괄 데이터 모델과 논리 데이터 모델 사이에 존재하는 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 개념 데이터 모델을 건축물에 비유해 보면 건물의 기둥들과 중요벽체들로만 만들어진 건물 설계 도면에 비유
- 정의된 핵심 엔터티들과 관계들을 기반으로 논리 데이터 모델에서는 업무 요구 사항에 기반을 둔 상세 데이터 모델이 생성
728x90
반응형
'자격증 > 데이터아키텍처 준전문가(DAsP)'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sP(4과목) 2-3. 후보 엔터티 선정 (47) | 2023.09.07 |
---|---|
DAsP(4과목) 2-2. 주제 영역 정의 (43) | 2023.09.06 |
DAsP(4과목) 1-3. 데이터 모델링 표기법 이해 (41) | 2023.09.05 |
DAsP(4과목) 1-2. 데이터 모델링 기법 이해 (38) | 2023.09.03 |
DAsP(4과목) 1-1. 데이터 모델링 개요 (32) | 2023.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