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격증/데이터아키텍처 준전문가(DAsP)

DAsP(4과목) 1-3. 데이터 모델링 표기법 이해

by 김엉배 2023. 9. 5.
728x90
반응형

1.  바커 표기법(Baker Notation)

- 영국 컨설팅 회사에 의해 처음 개발되었고 리차드 바커 에 CACI (Richard Barker) 의해 지속으로 업그레이드되었다.

- 오라클에서 Case Method(Custom Development Method)로 채택하여 사용하고 있다.


가) 엔터티(Entity)

  • 기업에서 지속적으로 저장하고 관리해야 할 대상이다.
  • 하나의 관리 대상이 엔터티가 되기 위해서는 반드시 두 개 이상의 속성을 가져야 한다.
  • 속성이 없는 실체는 존재할 수 없다.
  • 실제 세상에 있는 객체(Object)이다.

 

나) 속성(Attribute)

  • 하나의 엔터티에 종속되는 명사적 단어들을 말한다.
  • 속성의 상태에는 2가지 종류가 있다.
  • 일반적으로 명사적 단어들 중에 구성 요소를 포함하고 있는 명사들은 엔터티가 되고 그렇지 못한 명사들은 속성이 된다.

 

다) 관계(Relationship)

  • 두 개의 엔터티 간에 CONDITIONAL을 표기한 후 해당 엔터티의 가까운 위치에 관계 명칭을 표기하고 관계는 실세계의 해당 엔터티에서 발생하는 동사적 단어들을 표기한다.

  • 엔터티와 엔터티 간의 관계 (1:1 관계, 1:M 관계, M:M 관계)
  • 엔터티와 엔터티간 상관관계의 조건
    - 필수 조건: 실선으로 표시하고 상대 엔터티에 대해 해당 엔터티에 조건을 만족하는 엔터티가 반드시 존재할 경우에 표시
    - 선택 조건: 점선으로 표시하고 상대 엔터티에 대해 해당 엔터티에 조건을 만족하는 엔터티가 존재할 수도,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을 경우 표시

 

라) 식별자(Unique Identifier)

  • 하나의 엔터티에 구성되어 있는 여러 개의 속성 중에 엔터티를 대표할 수 있는 속성을 의미
  • 하나의 엔터티는 반드시 하나의 식별자가 존재해야 한다.
  • 식별자 유형
    - 본질 식별자: 속성들 중 집합의 본질을 명확하게 설명할 수 있는 의미상의 주어를 본질 식별자라 한다.
    - 후보 식별자: 인스턴스를 유일하게 식별할 수 있는 속성 또는 속성들의 조합
    - 대체(보조) 식별자: 원래의 식별자를 대신할 수 있는 또 다른 속성들이나 릴레이션십을 말한다.
    - 인조 식별자: 식별자 확정시 기존의 본질 식별자를 그대로 실질 식별자로 인정할 수 없는 여러 가지 상황이 발생했을 때 사용
    - 실질 식별자: 인스턴스를 식별하기 위해 공식적으로 부여된 식별자를 말한다.

 

마) 서브타입(Sub-type)

  • 바커 표기법에서는 슈퍼타입(super-type) 안에 서브타입(sub-type)을 상자로 나타낸다.
  • 다이어그램에서 공간을 적게 사용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 서브타입의 중복을 허락하 지 않는 상호 배타적 관계이다.

바) 관계의 표현 비교

 

 

 

 

 

 

2.   I/E 표기법 (Information Engineering Notation)

- 1981년에 Clive Finkelstein과 James Martin이 공동 저술로 발표, 80년대 중반에 James Martin에 의해 그 체계가 정리되고 활동

- 관계의 다(Many) 쪽을 나타내 기 위해 까마귀 발을 사용하기 때문에 때때로 까마귀 발 모델(Crow’s Foot Model)이라 부른다.


가) 엔터티(Entity)

 

나) 속성(Attribute)

) 관계(Relationship)

라) 식별자(Unique Identifier)

  • 속성의 식별자는 엔터티의 상단에 나타냄

마) 서브타입(Sub-type)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