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격증/데이터아키텍처 준전문가(DAsP)

DAsP(3과목) 2-1. 데이터 표준화 원칙 정의

by 김엉배 2023. 8. 29.
728x90
반응형

1.  데이터 표준화 요구 사항 수집


  • 현업 및 개발자로부터 데이터 표준과 관련된 요구 사항을 인터뷰 및 설문조사 등을 통하여 조사 함으로써 전사 데이터 표준 대상 후보를 식별하고 개선점을 도출하는 데 사용할 자료를 마련한다.
  • 조사 시 현업 및 개발자들이 각자 맡고 있는 담당 영역의 틀에 벗어나 반드시 전체적인 관점 및 제삼자의 관점에서 기술할 수 있도록 유도

 

 

 

2.   현행 데이터 표준 원칙 분석

- 현행 정보시스템에서 적용하고 있는 데이터 표준 원칙 및 데이터 표준을 수집하고, 수집된 자료를 통하여 식별된 데이터 표준의 관리 대상 및 현황을 파악한다.


가) 현행 데이터 표준 원칙 수집

  • 현 정보시스템 개발 지침 문서 및 데이터 표준의 확보
    - 현행 데이터 표준 원칙은 기존 정보시스템을 개발할 당시 작성하고 적용되었던 개발 지침 문서 및 데이터 표준을 통하여 수집한다.
    - 데이터 표준 개발 지침 문서로는 각종 오브젝트(테이블, 칼럼 등)에 대한 명명규칙 등이 있다.

  • 현행 정보시스템 모델의 분석
    - 현행 데이터 모델 또는 데이터베이스 스키마에서 보여지는 오브젝트의 정의 패턴 분석을 통하여 정보시스템 구축 시 적용했던 원칙을 유추해 낼 수 있다.

나) 데이터 표준 원칙 사용 현황 분석

  • 수집된 데이터 표준 원칙 자료를 토대로 현행 정보시스템에서 적용하고 있는 데이터 표준 대상 및 관리 항목을 도출한다.

 

 

3.   데이터 표준 개선 방안 정의


- 현행 데이터 표준 사용 현황 명세서와 표준화 요구 사항 정의서를 토대로 하여 데이터 표준 대상 별 문제점 및 개선 방안을 도출한다.

- 문제점 및 개선 방안 도출시 반드시 전사적인 관점에서 접근하며, 전사적 관리의 필요성을 검토하여 관련 데이터 표준 대상 또는 대상별 관리 항목을 신규로 정의하거나 정의 대상에서 제외한다.

 

 

 

4.  데이터 표준 원칙 수립

- 현행 데이터 표준에 대한 개선 방안을 토대로 향후에 적용할 전사 데이터 표준 기본 원칙을 정의.

- 향후 전사 데이터 표준의 생성 및 변경시 참고할 수 있도록 각 데이터 표준 대상별 데이터 표준 원칙을 작성하여 문서화한다.


가) 데이터 표준 기본 원칙 정의

  • 데이터 표준 개선 방안을 참고하여 전체적으로 적용할 기본 원칙을 수립함으로써 표준화에 대한 방향을 사전에 정의할 수 있다.
  • 표준화 원칙의 예로는 한글명에 특수 기호를 사용하지 않거나, 영 문명 표기 시 발음되는 대로 기술하는 것을 금지하거나, 이음동의어 사용을 금지하는 것을 정의하는 것이다.

 

나) 데이터 표준 지침 작성

  • 데이터 표준 지침의 기본 구성
    - 개요
    - 데이터 표준화 관련자의 역할과 책임
    - 데이터 표준 관리 절차
    - 데이터 표준 기본 원칙
    - 데이터 표준 대상별 명명규칙
    - 데이터 형식 정의에 대한 기준
    - 기타 : 데이터 표준 대상별로 고유한 특성에 대해 원칙을 구체적으로 기술

 

  • 주요 데이터 표준 대상별 지침의 일반적인 구성
    - 표준 단어
    - 표준 용어
    - 표준 도메인
    - 표준 코드

  • 데이터 표준 개발 지침 작성 시 유의 사항
    - DBMS마다 허용하는 테이블 및 칼럼의 물리명 길이가 상이하다. 따라서 용어에 대한 영문명의 허용 길이에 대한 지침을 정의할 때 적용대상 DBMS에 모두 적용이 가능하도록 고려해야 하며, 어려울 경우 영문 축약명을 추가로 정의하거나 뷰(View)를 사용하는 등 다른 대안을 마련한다.
    - DBMS마다 정의하고 있는 데이터 타입이 각기 상이하기 때문에 특정 DBMS 기준으로 데이터 형식을 정의할 경우 다른 DBMS에서는 다른 데이터 타입으로 적용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