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데이터 표준 관리 도구란?
- 수립된 전사 데이터 표준 정보의 관리, 데이터 표준에 의한 개발 및 유지보수 지원, 데이터 표준 준수 및 변경 영향도 평가를 담당하는 기능으로 구성된다.
- 최근에는 이 러한 데이터 표준 관리 기능과 더불어 애플리케이션 정보, 데이터 흐름 정보, 각종 데이터에 대한 메타 정보에 대한 조회 기능을 갖는 시스템을 도입하여 활용하고 있다.
1. 확장된 데이터 표준 관리 도구의 기능
- 데이터 표준 관리 기능 외에 애플리케이션 정보, 데이터 흐름 정보, 각종 데이터에 대한 메타(Meta) 정보에 대한 조회 기능을 갖는 메타 데이터 시스템을 도입하여 활용하고 있다.
2. 데이터 표준 관리 시스템 기능
- 데이터 표준 관리, 데이터 구조 관리, 프로세스 관리의 기능으로 구성된다.
가) 데이터 표준 관리 기능
- 데이터 표준을 정의하고자 할 때 기존에 정의된 표준들을 조회하고, 이미 정의된 데이터 표준이 잘 준수되도록 관리하는 기능으로 구성
나) 데이터 구조 관리 기능
- 데이터 모델의 구조를 관리하거나 소스 시스템으로부터 DB 스키마를 리포지터리에 로드하기 위해 필요한 기능 등으로 구성된다.
다) 프로세스 관리 기능
- 데이터 표준에 대하여 신규 및 변경이 발생하거나 데이터 모델과 관련해 신규 테이블을 요청하고 승인하는 업무 프로세스 기능 구성.
3. 데이터 표준 관리 시스템 도입시 고려사항
- 확장성
- 다양한 시스템 및 DBMS의 정보 수집과 OLAP 툴 등의 다양한 데이터 구조 정보를 추출할 수 있는지 검토한다. - 유연성
- 데이터 표준을 전사적으로 일시에 적용하기는 곤란하므로 단계적 적용을 위한 여러 개의 통합 표준을 사용할 수 있는 복수 표준 관리가 가능한지와 한글명 및 영문명의 표현 방식, 표준의 변경 용이성을 검토한다. - 편의성
- 한글명의 영문명 자동 변환, 표준 검증의 주기적인 작업 수행 기능, 메타 정보 수집시 Import 수작업 최소화 등 사용자 편의성을 검토한다.
728x90
반응형
'자격증 > 데이터아키텍처 준전문가(DAsP)'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sP(3과목) 2-2. 데이터 표준 정의 (33) | 2023.09.01 |
---|---|
DAsP(3과목) 2-1. 데이터 표준화 원칙 정의 (32) | 2023.08.29 |
DAsP(3과목) 1-2. 데이터 표준 개념 (34) | 2023.08.28 |
DAsP(3과목) 1-1. 데이터 표준화 필요성 (37) | 2023.08.27 |
DAsP(2과목) 4-3. 정보 요구 보완 및 확인 (34) | 2023.08.25 |